본문 바로가기

[지식정보]모드뜨레/그날의 이슈

제주도, `환경올림픽' WCC 유치 성공!


 제주도, `환경올림픽' WCC 유치 성공 

    멕시코 칸쿤 제치고 제주도 유치…경제적 효과 기대

 

5 세계자연보전총회(WCC:World Conservation Congress) 2012년 제주도에서 유치키로 했다.

 

세계자연보전연맹(IUCN) 23일부터 25일까지 스위스 글랑에 있는 본부에서 이사회를 열고, 26일 우리나라의 제주도를 WCC 유치국으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.

 

WCC는 환경분야 국제회의 중 가장 큰 대규모회의, 2008년 창원에서 개최된 람사르총회의 4배 이상 규모로, IUCN 160개 회원국에서 정부기관, NGO, 전문가 등 1,100여개 단체 만 여명의 인원이 참가한다. 특히 4년에 한번씩 개최되므로 환경올림픽이라 불리기도 한다.

 

총회에서는 전 회원들이 참석하는 전체회의와 함께 지역회의, 워크숍, 전시회 등 900여개 부대행사가 열흘간 열리게 되며 자연생태보전, 생물다양성 제고, 기후변화 대응 등 자연환경을 매개로한 환경문제 전 분야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진행된다.

 

환경부는 멕시코 칸쿤을 제치고 제주도를 금번 WCC 유치지로 결정한 것과 관련 "세계 곳곳에서 10,000여명이 넘는 인원이 우리나라를 찾게 되므로 직접적인 경제효과 만도 900억원 이상이 될 것"으로 분석했다. , "WCC의 의미와 부합하는 생태관광, 2010~2012년 한국 방문의 해, 2012년 여수엑스포와 연계하여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한다면 그 효과는 훨씬 클 것"으로 보인다고 전했다.

 

덧붙여 환경부는 "향후 유치위원회를 준비위원회로 전환하고 내년 상반기에 있을 IUCN과의 개최국 합의서(MOU) 서명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2012 세계자연보전총회 개최 준비에 들어갈 계획"이라고 밝혔다.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 


 제주
, 2012 세계 자연총회 유치…의미와 과제는

 

[박수택 환경전문기자] IUCN-국제자연보전연맹은 국제 환경 문제에 발언권과 영향력이 막강합니다. 4년마다 '세계자연보전총회'를 열어 지구 환경 문제 전반을 폭넓게 논의합니다 

IUCN은 어젯(26)밤 스위스 글랑 본부에서 이사회를 열고 오는 2012년 제5차 총회 개최지를 제주로 결정했습니다.

 

[이병욱/ 환경부 차관 : 이번 WWCC 유치는 환경분야에서도 세계적인 어떤 선도적인 위치에 놓이게 되는 그런 쾌거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.]

 

[박수택 환경전문기자] 개최국으로서 자연 보전 실태는 정부 측 평가와 다릅니다.

세계적인 새만금 갯벌은 사라졌습니다. 멸종위기 저어새가 찾아든 인천 송도 갯벌은 마지막 매립을 앞두고 있습니다. 조력 발전 계획으로 인천과 강화 주변 바다 생태는 위협받고 있습니다. 4대강 사업으로 영향받게 될 습지는 107곳이나 됩니다.

 

자연 보전 목적의 국립공원은 케이블카 설치 문제로 시끄럽고 지리산엔 댐 건설 계획까지 겹쳤습니다.

 총회 개최지 제주마저 한라산 케이블카에 해군기지 건설 논란에 들썩입니다.

 


[
최승국/녹색연합 사무처장 : 케이블카 설치와 같은 이런 반 환경적인 정책들은 스스로 거둬들임으로써 총회를 개최하는 국가로서의 면모를 유지할 수 있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.]

 

[박수택 환경전문기자] 세계 자연보전 총회를 끌어오면서 우리의 자연 보전 실태가 국제사회 이목을 모으게 됐습니다.

 


발췌

뉴스웨이 정미라 기자

SBS뉴스 박수택 기자